[환경일보]기고 – 김귀순교수(부산녹색연합 회원)

2017년 3월 16일 | 미분류

[기고] 행복도시,   자족도시에서   플랫폼도시로

네트워크 지원으로 지역 상생발전 방안 모색
세종시, 타 도시 스마트시티 모델 확산 견인해야

에코시티가 바뀌고 있다. 이제 도시는 섬이 아니다. 세계가, 도시가 점으로 선으로 가상세계로 연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에코시티는 기존의 자족도시 개념에서 플랫폼도시 개념으로 변화하고 있다. 플랫폼도시는 플랫폼 비즈니스 활용으로 새로운 유형의 직업과 고용 창출이 이뤄지며, 일정한 양식을 매개로 참여자들을 연결시켜 새로운 가치가 지속적으로 창출되는 도시이다.

▲플랫폼도시경영연구소대표 김귀순

이러한 관점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하 행복청)이 지향하는 ‘친환경 미래첨단 스마트시티 행정중심복합도시(이하 행복도시)’의 과감한 전략수정이 필요하다. 이는 행복청의 주요업무 수정과 플랫폼도시 기능 활성화를 위한 네트워크 도시 지원도 포함된다. 따라서 기존의 행복도시 중심의 하드웨어 확충 및 인구유입 증가를 통한 도시 확산은 최소화하는 대신 국내 타 도시의 콘텐츠 위주 소프트웨어 지원 등 혁신적 발상전환을 기대해 본다.
2005년 3월 ‘신행정수도 후속대책을 위한 연기·공주 지역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을 위한 특별법’을 10년이 지난 지금 친환경 미래 첨단 스마트시티의 국내 도시 확산을 위한 플랫폼 도시로서 행복도시가 기능할 수 있도록 특별법의 수정도 따라야 한다.
행복청은 충청권을 제2의 수도권으로 만들겠다는 전략을 과감히 수정하고, 세종시가 국내 전역에 2시간 거리에 있는 만큼 국내 타 도시들이 균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인적·물적 자원을 지원하는 플랫폼도시 지원청으로서 거듭나야 한다. 세종시가 국토부로부터 스마트시티 토털 솔루션 모델도시로 지정된 것을 계기로 국내 타 도시들의 스마트시티 모델을 확산하는 데 앞장서야 할 것이다.
행복도시 예산, 어떻게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지 고민해야
행복도시는 자족도시가 아니라 기존 도시 네트워크를 통한 분산적 기능 활용과 상생발전이란 플랫폼도시를 비전으로 설정해 국가 신성장 동력의 한 축이 돼야 한다. 우리나라 대부분 도시는 계획 부재 속 자생적 마을이 확대된 도시가 많다 보니 도시 기본 인프라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대한민국 전체 인구의 0.5%인 25만명이 사는 행복도시에만 8조5000억이 쓰인다면 국토균형발전 취지에 어긋난다. 행복도시 국가예산이 앞으로 어떻게 더 효율적으로 사용돼야 하는지에 대한 재검토 차원에서 새로운 목표와 비전의 재설정이 따라야 한다. 국가차원의 도시계획 수출 모델인 ‘K-City 프로젝트’도 행복도시와 같은 신도시뿐 아니라 행복도시가 플랫폼도시로서 타 도시의 낙후된 구도심의 도시재생 모델을 지원해 얻은 성공사례를 보여주는 것이 좋다.
지금은 물리적 공간이 아닌 가상세계가 우리를 지배하는 4차 혁명시대이다. 행복도시의 자족기능 확충을 위한 산학연 클러스트 조성사업도 기존의 타 도시 기업이나 대학을 신설·이전하는 방식이 아니라 국내외 기업과 대학의 연결 및 협업 위주로 소프트웨어를 생산하고 이들을 지원해 주는 데 그 초점을 둬야 할 것이다.
<글 / 본지 명예기자·부산외국어대학교 명예교수·플랫폼도시경영연구소 대표 김귀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