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서] 낙동강은 지금 독극물이 흐른다.

2022년 8월 29일 | 보도자료/성명서

낙동강은 지금 독극물이 흐른다.

박형준시장은 낙동강 보 수문 개방으로 녹조독으로부터

부산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라!

 

“ 강이 아프면 사람도 아프다” 부산시민의 식수원인 물금.메리 지점이 녹조로 뒤덮여 초록의 물감을 풀어 놓은 듯 짙은 녹색을 띠면서 대규모 녹조로 부산의 식수원이 위협 받고 있다. 상수원 구역은 기준치 3배가 넘는 녹조 독성물질이 검출되는 등 식수 불안이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환경부 발표에 따르면

지난달 등에 따르면 지난달 부산 식수원인 물금.메리 지점에 대한 최근 4차례 조사에서 유해남조류 세포 수(cells/mL)가 모두 10만 개를 넘었다.

 

낙동강 녹조 문제는 본류를 넘어 연안 해안 다대표해수욕장까지 덮쳤다.

녹조가 창궐한 상황에서 보 수문을 개방함에 따라 녹조는 다대포 해수욕장과 거제 지역 해수욕장 등에서 발견됐다. 다대포 해수욕장에선 남세균 신경독소인 BMAA가 검출됐다. 해수욕장 녹조 창궐에 따라 여름 휴가철 관광객은 경악했고, 주변 상인들은 매출 감소에 따라 울상을 지었다.

부산지역의 다대포해수욕장의 BMAA(베타 메틸아미노 알라닌 BMAA: beta-Methylamino-L-alanine)와 낙동강 하구둑부터 매리 취수장의 강 본류 그리고 부산시민에게 공급될 농산물인 양산시의 벼 재배지 등의 녹조 현황에 대하여 좀 더 자세히 시민들과 공유하고자 한다. 낙동강을 식수원으로 하는 부산시민은 독성물질의 위협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이에 따른 국민건강영향평가도 미흡하고 근본적인 수질 개선 문제에 대한 연계정책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낙동강 녹조 문제는 정확히 2012년 낙동강에 들어선 거대한 보에 물을 채우는 바로 그 해부터 시작됐지만, 국내외 전문가, 시민사회는 수질 악화 등 이명박 정부 4대강사업의 절망적 파국을 사전에 경고했다. 녹조 현상은 지난 10년간 매년 되풀이되면서 ‘녹조라떼’라는 조어가 계속 회자하고 있다. 예견된 환경재난이 지난 10년 동안 곪아 터져 더욱 큰 환경재난이 됐고, 이제는 농산물, 수돗물에 이어 해수욕장까지 남세균 독소가 퍼져 국민 불안을 가중하는 사회재난으로 번지고 있다.

 

환경단체와 민간 전문가는 지난해부터 정기적으로 낙동강 물과 그 물로 기른 농작물의 마이크로시스틴 농도를 조사했다. 올해 초 국내에서 처음으로 낙동강 노지 재배 농작물에서 녹조 독인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다는 사실을 밝혔다. 급기야 지난 7월 말 대구 수돗물에서도 마이크로시스틴 검출돼 국민에게 큰 충격을 안겨주었다. 농작물과 수돗물에 든 녹조 독소가 우리 밥상과 일상을 위협하고 있다. 그동안 국가는 무엇을 하고 있었는가?

대표적인 남세균 독소인 마이크로시스틴은 기본적으로 발암물질이고 사람이 이를 섭취하게 되면 간과 신장에 악영향을 끼친다. 최근에는 남성의 정자수를 감소시키는 생식 독성까지 보고되고 있다. 지난 8월 초 수거한 녹조와 퇴적토에서 신경독소인 아나톡신과 신장을 망치는 신린드로스퍼몹신 그리고 알츠하이머와 루게릭병 등 뇌 질환을 유발하는 BMAA란 독소까지 검출됐다. 녹조 가득한 논에서는 미국 연방 환경보호청 물놀이 기준을 490배 넘는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다. 이 녹조 독소가 쌀과 농산물에 축적돼 우리 국민의 건강을 위협한다.

 

낙동강 남세균 독소 문제는 단지 낙동강만으로 끝나지 않는다. 낙동강 농수산물은 전국으로 유통되기에 전국의 문제이자 우리 국민의 건강과 안전의 문제다. 수돗물 문제 역시 마찬가지다. 앞서 7월 말 대구 수돗물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이 아니어도 녹조로 가득한 낙동강 상황은 수돗물 신뢰도를 급격히 떨어뜨리고 있었다. 여기저기서 수돗물 불안에 걱정하는 국민 목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다. 불행히도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켜야 할 정부는 오직 고도정수처리만 외치고 있다. 고도정수처리 시설은 만병통치약이 아니며 수돗물 녹조 독소 검출은 이 만병통치약이 부실하다는 걸 말해주고 있다. 더욱이 대규모 녹조 창궐은 상수원 불안이라는 국민 우려를 가중하고 있고, 다른 수계 수돗물 신뢰도에도 매우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낙동강에서 벌어지는 심각한 녹조 문제 해결 없이는 국민 불안은 해소되지 않는다. 낙동강 대규모 녹조 창궐이라는 환경재난이 국민 불안을 야기하면서 사회·경제적 피해로 이어지는, 말 그대로 사회재난에 이르렀다. 이런 심각한 상황임에도 윤석열 정부는 4대강 보 활용론이나 흘리고 있다. 국민의 생명과 안전은 좌우 이념이 아니라 정부가 존재하는 이유여야 한다. 대한민국 정부는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가?

 

‘강이 병들면 사람도 병든다’라는 건 상식이다. 대규모 녹조 창궐은 낙동강이 병들었다는 걸 가시적으로 드러내는 증거이자 역설적으로 낙동강이 우리 인간에게 보내는 SOS 신호다. 살려달라는 애원이다. 우리 국민이 건강하려면 강을 살려야 하고, 강을 살리는 가장 확실하면서도 간단한 방법은 강을 흐르게 하는 것이다. 낙동강 8개 보의 수문을 열어야 한다. 그리고 강의 자연성 회복을 위해 보를 해체하면 강은 자신의 힘으로 치유할 수 있다. 올해처럼 낙동강에 녹조가 대규모 창궐한 상황에서 수문개방은 바닷가 피해 확산이라는 점에서 녹조 발생 전부터 수문을 개방해야 한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문제다.

4대강사업이라는 예견된 환경재난을 지난 10년 동안 국가는 방치했다. 그에 따른 재난은 규모가 커져 이제 사회재난이 돼 우리 국민을 공격하고 있다.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켜야 할 국가는 어디에 있는가? 민의의 전당이라는 국회는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가? 정부와 국회 부산시는 죽어가는 낙동강이 보내는 절박한 신호를 외면해서는 안 된다. 강을 흐르게 하는 것이 우리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지키는 일이라는 걸 절대 망각해선 안 된다.

 

박현준 부산시장은 낙동강 수돗물 , 농산물, 학교급식 ,생활용수 ,다다포해수욕장 녹조 독으로부터 부산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

 

 

 

2022.08.29.

부산시민운동단체연대, 낙동강부산네트워크